반응형

와이컴 17

[창업]Why You Shouldn't Copy Your Tech Idols

https://www.youtube.com/watch?v=09mXPGVkfVA💡 핵심 요약1. “그들이 말하는 것” vs “그들이 실제로 한 것”샘 알트먼, 일론 머스크, 피터 틸의 조언은 듣기에는 훌륭하지만, 그들의 실제 성공 경로는 훨씬 복잡하고 개인화된 과정이었음.성공한 사람들의 인터뷰나 회고에는 재구성된 내러티브가 많아, 맥락 없이 따르기에는 위험.2. 샘 알트먼 사례 – ‘루프드’ 이야기샘이 **YC에 선발되기 전 만든 스타트업 'Loopt'**는 많은 사람이 잊고 있지만, 실제 그의 커리어에서 큰 기반이 됨.샘은 좋은 인맥, 초기 자금, 창업 환경 등 운과 배경 요소가 잘 맞아떨어진 케이스.이 배경을 모른 채 그의 현재 조언만 따르면 핵심 과정을 생략한 것이 됨.3. 일론 머스크 사례 – 목..

창업 2025.04.15

[창업]The Truth About Building AI Startups Today

https://www.youtube.com/watch?v=TwDJhUJL-5o1. 지금이 AI 스타트업을 시작할 기회인 이유GPT·LLM 기반 기술이 폭발적으로 확산되며 누구나 새로운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AI 경험이 없는 사람도 아이디어만으로 도전할 수 있는 시대.과거에 비해 기술·인프라 장벽이 낮아지고 있음.특히 대학생, 비전공자 등에게 “동등한 출발선”이 마련됨.2. 스타트업 초기: ‘무엇을 만들까’보다 ‘누구를 도울까’대부분의 실패 사례는 문제 없는 솔루션에서 발생.반복되는 패턴: 비슷한 AI 코파일럿, 생산성 툴, 자동화 UI 등—차별화가 어려움.AI 기반 자동화 워크플로우(e.g. 이메일 자동 요약, 채용 필터링 등)는 여전히 블루오션.중요한 건 "누가 돈을 낼지", "그들은 실..

창업 2025.04.11

[창업]Should You Follow Your Passion? – Dalton Caldwell and Michael Seibel

https://www.youtube.com/watch?v=KWNNmPCF-Xs🧠 핵심 요약1. 열정을 따르라는 말의 함정많은 창업자들이 기술적 관심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기반으로 스타트업을 시작하지만, 시장의 문제와는 동떨어진 경우가 많음.진짜 문제는 “누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내가 만들고 싶은 것”에 몰두하는 것.2. 문제 해결 중심의 창업 철학진짜 열정은 현실에서 반복되는 불편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나옴.자신이 겪지 않은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만들기보다는, 주변의 실제 고통을 관찰하고 해결하는 것이 중요.“글로벌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태도는 실제 사용자와의 연결이 부족한 경우가 많음.🔥 열정의 진짜 의미3. 열정이란, 보상 없이도 계속하고 싶은 일..

창업 2025.04.03

[창업]SUS Live Q&A: Michael Seibel and Eric Migicovsky

https://www.youtube.com/watch?v=yA15dwtGaFM🧠 주요 내용 요약1. MVP(최소 기능 제품)의 본질과 전략완성도보다 “문제 해결”에 집중하라.이미 존재하는 경쟁자가 있더라도, 특정 소수의 사용자 문제를 더 잘 해결하는 방식이 가능하다면 기회가 있다.사용자가 현재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결 방법이 없는 문제라면 수요가 없을 수 있다.2.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반복적 개선MVP의 목적은 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자와 대화하며 제품을 진화시키는 것.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같은 경우, “왜 다시 앱에 들어올까?”라는 재방문 동기가 중요하다.사용자 피드백 채널로 WhatsApp 그룹이나 소규모 사용자 그룹을 운영하..

창업 2025.04.02

[창업]Critiquing Startup Mobile Apps

https://www.youtube.com/watch?v=4N55fVuxxOg🧠 전반적인 디자인 조언맥락 최우선: 앱이 사용되는 실제 환경을 항상 고려해야 함 (예: 걷는 중? 배고픈 대학생?).기본 원칙:충분한 버튼 크기 (터치 대상 60px 이상)대비 있는 텍스트단순하고 명확한 상호작용 흐름브랜드 일관성 유지: 색상, 명칭, 로고 등은 통일되어야 사용자 인지에 도움.사용자 관찰은 최고의 설계 도구: 실제 사람이 어떻게 사용하는지 직접 관찰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음.빠른 테스트와 반복 개선: MVP는 간단하게 시작하되, 피드백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

창업 2025.03.31

[창업]It's Surprising How Much Small Teams Can Get Done - Sam Chaudhary of ClassDojo

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shared&v=wvMdXPt-Pq0🎤 1. 폴 그레이엄(PG)과의 첫 만남 & 투자 유치 과정데모 데이에서 발표한 후, PG가 발표 중 언급된 사용자 참여 지표에 관심을 보이며 다가옴.PG는 직접 기술적인 데이터 확인을 요구했고, 리암(공동 창업자)은 데이터를 바로 보여주려 했으나 시간이 부족해 나중에 이메일로 보내겠다고 약속.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다양한 성장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이메일로 전송.일주일 뒤, PG에게서 “자금 제안에는 보통 응답을 하는 법이야”라는 이메일 수신 → 알고 보니 PG의 초기 제안 이메일이 스팸함에 들어가 있었음.리암은 직접 자전거를 타고 PG의 집으로 가서 수표를 받아옴. ClassDojo의 첫 투자자 중..

창업 2025.03.28

[창업]Content Marketing Tips from Experts at First Round Capital and Andreessen Horowitz

https://www.youtube.com/watch?v=xBq4FN7dTZY🔑 핵심 요약이 강의는 콘텐츠 마케팅에서 효과 측정, 전략적 목표 설정, 플랫폼 최적화, 그리고 진정성과 호기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콘텐츠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를 만들고 대화에 참여하는 수단이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 요약콘텐츠의 효과 측정단순 페이지 뷰보다는 사이트에서 머무는 시간과 참여도가 더 중요.긴 글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며, 목표와 일치하는 글이 중요.소셜 미디어와 인플루언서의 역할소셜은 단순한 홍보 수단이 아니라 커뮤니티와의 대화 창구.인플루언서 마케팅은 팔로워 수보다 영향력의 질이 중요.콘텐츠 전략의 방향성**명확한 목표(가이드 스타)**를 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모든 콘..

창업 2025.03.27

[창업]프로덕트 헌트의 시작, Communicate with Users, Build Something They Want - Ryan Hoover of Product HuntY Combinator

https://www.youtube.com/watch?v=tckGI4C7k10&list=PLQ-uHSnFig5PACZiyiDk1O24Zm9wxAEUi&index=15🎯 Product Hunt 창업 이야기 & 비기술 창업자 조언💡 Product Hunt의 시작Ryan은 비기술 단독 창업자였으며, YC 지원 당시 이를 우려했지만, 이미 초기 사용자 성장(월 50% 성장률)을 기반으로 제품 수요를 증명했다.Product Hunt의 MVP는 단순한 이메일 뉴스레터였다. 초기에는 Typeform, 이메일, Stripe 등 코드 없는 도구(no-code) 로 실험하고 시장 반응을 테스트했다.💬 비기술 창업자에게 주는 조언꼭 코딩할 필요 없음. 대신 빠르게 MVP를 만들고 고객 반응을 확인하라.이메일, Type..

창업 2025.03.26

[창업]Building a Startup is About Solving a Problem - Avni Patel Thompson of Poppy

https://www.youtube.com/watch?v=0W5Jaip5_-g👩‍👧‍👧 Poppy의 시작: 개인적인 문제에서 출발앤은 아동 보육 전문가가 아닌, 자신의 아이들을 돌봐줄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을 찾는 문제로부터 출발.매일 불확실한 보육 상황 속에서 부모로서의 좌절감을 느끼고, 수많은 부모들이 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음.믿을 수 있는 돌봄 제공자를 연결하는 현대적인 ‘마을’을 만들기 위해 Poppy를 창업.🚫 첫 스타트업의 실패와 교훈인도 문화를 담은 구독형 상자 서비스를 운영했지만 고객 확보 비용이 너무 높아 사업 중단.모든 자금을 잃고 실패에 대한 좌절감을 느낌.그러나 실패 후 폴 그레이엄의 에세이와 YC 자료들을 읽으며 방향을 다시 잡음.열정이 아닌, 문제 해..

창업 2025.03.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