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창업]It's Surprising How Much Small Teams Can Get Done - Sam Chaudhary of ClassDojo

christin-park97 2025. 3. 28. 09:09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shared&v=wvMdXPt-Pq0

🎤 1. 폴 그레이엄(PG)과의 첫 만남 & 투자 유치 과정

  • 데모 데이에서 발표한 후, PG가 발표 중 언급된 사용자 참여 지표에 관심을 보이며 다가옴.
  • PG는 직접 기술적인 데이터 확인을 요구했고, 리암(공동 창업자)은 데이터를 바로 보여주려 했으나 시간이 부족해 나중에 이메일로 보내겠다고 약속.
  •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다양한 성장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이메일로 전송.
  • 일주일 뒤, PG에게서 “자금 제안에는 보통 응답을 하는 법이야”라는 이메일 수신 → 알고 보니 PG의 초기 제안 이메일이 스팸함에 들어가 있었음.
  • 리암은 직접 자전거를 타고 PG의 집으로 가서 수표를 받아옴. ClassDojo의 첫 투자자 중 한 명이 됨.

🏫 2. ClassDojo의 사명과 해결하려는 문제

“아이들은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는가?”

  • 대부분의 아이들이 그러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ClassDojo가 시작됨.
  • 교실과 가정 간의 단절혁신적인 교육 아이디어의 느린 확산이 주요 문제점.
  • 기존의 교육 개선 방식(정책, 기술)은 한계가 있음 →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실용적 도구 필요.

📱 3. 제품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A. 가정과의 연결 강화

  • 교사가 수업 중 촬영한 사진, 비디오를 부모에게 공유함으로써 학교-가정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강화.
  • 학부모가 자녀의 하루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

B. 사회정서적 학습(SEL) 콘텐츠 제공

  • 스탠포드의 캐롤 드웩 교수와 협업 → 성장 마인드셋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작.
    • 핵심 메시지: 능력은 연습과 인내로 성장할 수 있다.
  • 단순한 강의가 아닌 스토리 중심의 영상을 통해 아이들의 흥미 유도.
  • 지금까지 1500만 명 이상 아이들이 해당 콘텐츠를 접함.
  • 이후 하버드(공감), 예일(마음챙김) 등과도 협업하여 추가 콘텐츠 제작.

📊 4. 효과 측정: 입력 vs 출력

  • 입력(Input): 사용 여부, 콘텐츠 조회 수, 교사·학부모의 참여도 등 →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
  • 출력(Output): 사고방식 변화, 아이들의 행동 변화 등 → 시간이 걸리고 측정 어려움.
  • 그러나 실제 교실에서 "아직 못해"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아이들을 보며 개념이 전달되고 있다는 신호를 포착.

🧠 5. 사용자 이해와 초기 시장 탐색 전략

A. 제품 이전: 사용자 이해부터

  • ClassDojo는 처음부터 제품 아이디어로 출발한 것이 아님.
  • 창업자는 교육 업계에서의 경험, 공동 창업자는 교육 기술에 대한 연구자 → 교육 문제에 깊은 공감 보유.

B. 철저한 사용자 조사

  • 수천 명의 교사들에게 이메일: “교실에서 겪는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요?” → 간단한 한 줄 질문.
  • 지역 학교, 여름 수업 방문, EdCamp(교육자 네트워크) 행사 참여 등 적극적으로 교사와의 대화 시도.
  • 화려한 발표나 판매가 아닌 질문 중심의 대화 → 진짜 문제에 대한 감을 잡음.

🧩 6. 지금까지도 지속되는 사용자 중심 문화

  • 회사 규모가 커졌음에도 사용자 조사(리서치)는 핵심 기능으로 존재.
  • 전담 연구팀이 존재하며, 이들은 현장 교사, 학생, 부모와의 대화에 집중.
  • 교사들의 이야기를 사무실로 가져와 회사 전원이 사용자에 대해 계속 학습.
  • 교사들의 제안을 듣고 바로 제품에 반영하거나 전문가와 연결해 구현.

💡 7. 철학 및 교훈

  • “사용하기 쉬운 것과 효과적인 것은 충돌하지 않는다” → 디자인과 심리학적 효과를 모두 고려.
  • ClassDojo의 사명은 단지 도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육 경험을 창조하는 것.
  • 교사들이 아이들을 위해 “진짜 하고 싶은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우리의 존재 이유.

📌 결론

ClassDojo는 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실용적인 도구로 시작해, 사회정서적 학습 확산과 교육 혁신을 이끌고 있음.
모든 시작은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에서 출발했으며, 이 철학은 지금도 계속 유지되고 있음.
진정성과 끈기, 사람에 대한 존중이 스타트업 성공의 핵심이라는 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