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창업] 린 스타트업이란?

christin-park97 2025. 2. 19. 13:44
반응형

1. 린스타트업이란?

린스타트업은 **"실패를 줄이고 빠르게 성장하는 창업 방법론"**!
대박 아이디어라고 무작정 개발하는 게 아니라, 최소한의 기능으로 먼저 테스트하고, 고객 반응을 보고 빠르게 수정하는 방식.

💡 예시:
👉 "우리가 만든 앱이 대박 날 거야!" → X (감에 의존 NO!)
👉 "일단 기본 기능만 만들어서 고객 반응을 보자!" → O (린스타트업 방식!)

 

 

1️⃣ Build - Measure - Learn 사이클 🛠️📏📚

빠르게 만들고(Build), 실험하고(Measure), 배우자(Learn)!
✔ 고객 반응을 보면서 계속 개선 & 반복

💡 예시:

  • 유튜브 초창기: 원래 데이팅 앱이었지만, 사람들이 동영상 공유 기능만 사용 → 피드백을 받고 영상 플랫폼으로 피봇!
  • 스타벅스 앱: 처음엔 모바일 주문 기능 없이 운영 → 고객 데이터 분석 후 모바일 주문 추가 → 매출 폭발!

2️⃣ 최소 기능 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 🚀

"완벽한 제품이 아니라, 최소한의 핵심 기능만 넣어서 먼저 테스트!"
✔ 일단 시장 반응을 보고, 필요하면 기능 추가!

💡 예시:

  • 에어비앤비: 창업자들이 직접 자기 집 거실을 임대 → 사람들이 실제 돈을 지불할지 테스트!
  • 드롭박스: 앱 개발 전에 데모 영상만 공개 → 사람들이 반응을 보고 개발 결정!

3️⃣ 피봇(Pivot) 🔄

"이 방향 아닌 것 같은데?" → 빠르게 방향 수정!
✔ 아이디어가 안 먹히면, 초기 가설을 수정하고 새로운 방향을 찾는 것

💡 예시:

  • 슬랙: 원래 온라인 게임을 만들던 회사 → 게임용 채팅 기능이 인기 → 기업용 메신저로 피봇!
  • 인스타그램: 원래 위치 기반 SNS였지만, 사람들이 사진 공유 기능만 사용 → 사진 중심 SNS로 피봇!

 

 

 

---- 아래는 생각해 보면 좋은질문과 나의 대답 ---

 

본인이 생각하는 창업 아이디어를 간단히 설명해보세요.
-> 전세 사기를 막을 수 있는, 전세 대출금 중간 보관(에스크로우) 기능을 포함한 간단한 앱 서비스


이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 만들 수 있는 MVP는 무엇인가요?
-> 에스크로우 계좌 가상 보관 → (대출금이 바로 지급되지 않고, 중간 보관됨)

왜 그렇게 생각하셨나요?
-> 가장 핵심이 되는 기능이자, 사회적인 문제를 풀 수 있는 핵심 기능임

 

사용자의 반응을 측정할 방법은 무엇인가요?

1. 랜딩 페이지 & 설문조사

  • 서비스 개념을 설명하는 랜딩 페이지 제작
  • "전세 계약 시 가장 불안한 요소는?" 등의 질문 포함하여 설문조사 진행
  • MVP 대기자 명단 모집 (이메일 수집)

2. 파일럿 테스트(소규모 실험 운영)

  • 일부 전세 계약을 대상으로 실제 에스크로 서비스 적용
  • 금융기관(은행, 보증기관)과 협력하여 실제 대출금을 보관 후 지급하는 흐름 테스트
  • 임차인 & 임대인의 경험과 피드백 수집

3. 법적 & 금융기관 피드백 수집

  • 금융권, 부동산 중개업자, 법무사 등 전문가 인터뷰
  • 에스크로 서비스의 법적 실행 가능성 및 규제 리스크 분석

    그 방법을 선택했을때 장점과 단점을 작성해주세요.

측정 방법     장점              단점

랜딩 페이지 & 설문조사 빠르고 저렴하게 시장 수요 예측 가능 실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얻기 어려움
파일럿 테스트(소규모 실험 운영) 실전 테스트로 사용자 반응과 법적 문제 검증 가능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법적 절차가 복잡할 수 있음
-> 큰돈이 걸려 있는 문제라 실제로 수행이 어려울 수 있음
법적 & 금융기관 피드백 법적 위험을 사전에 방지 가능 규제 제약이 크다면 서비스 진행이 어려울 수도 있음


어떤 기준으로 피봇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까요?

① 사용자 수요가 충분한가?

  • 설문조사 응답 중 "이 서비스를 사용할 의향이 있다"는 비율이 70% 이상이면 유지
  • 랜딩 페이지 방문 후 실제 가입 신청 비율이 10% 이상이면 시장성 충분

② 금융기관 & 부동산 업계 협력이 가능한가?

  • 은행, 전세 보증기관(HUG, SGI) 등의 협력을 받을 수 없으면 P2P 금융 모델(사용자 간 신탁 서비스)로 피봇 고려
  • 금융권 참여가 어렵다면, **"전세 계약 서류 검토 + 전세금 반환 보증 추천 서비스"**로 방향 전환

③ 법적 문제가 해결 가능한가?

  • 한국 금융법상 비은행 기관이 대출금 보관 가능 여부 검토
  • 법적 제한이 클 경우, 보험 기반 서비스(전세금 반환 보증 연계)로 피봇 고려

④ 수익 모델이 현실적인가?

  • 사용자가 서비스 비용(예: 대출금의 0.5%)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검증
  • 금융기관이나 보험사와 협력하여 수익 분배 모델이 가능한지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