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창업]SUS Live Q&A: Michael Seibel and Eric Migicovsky

christin-park97 2025. 4. 2. 11:34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yA15dwtGaFM

🧠 주요 내용 요약

1. MVP(최소 기능 제품)의 본질과 전략

  • 완성도보다 “문제 해결”에 집중하라.
  • 이미 존재하는 경쟁자가 있더라도, 특정 소수의 사용자 문제를 더 잘 해결하는 방식이 가능하다면 기회가 있다.
  • 사용자가 현재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결 방법이 없는 문제라면 수요가 없을 수 있다.

2.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반복적 개선

  • MVP의 목적은 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자와 대화하며 제품을 진화시키는 것.
  •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같은 경우, “왜 다시 앱에 들어올까?”라는 재방문 동기가 중요하다.
  • 사용자 피드백 채널로 WhatsApp 그룹이나 소규모 사용자 그룹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기술이 복잡할수록 더 단순하게 시작하라

  • 자율주행차 같은 고난이도 제품조차도 MVP는 단순한 기능부터 시작한다.
  • 기술적으로 완성된 프로토타입보다는, 고객이 사전 구매(계약)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MVP를 고민해야 한다.

💰 가격 전략과 수익화 인사이트

4. “무료 vs 유료” MVP, 어떻게 결정할까?

  • 실제 비용이 드는 서비스는 유료화해야 한다.
  • 초기에는 너무 낮은 가격보다는, 문제 해결 가치를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하라.
  • 가격은 “기술적으로 뛰어난 것”보다 얼마나 문제를 해결했느냐에 따라 설정된다.

5. 고객 가치를 중심으로 한 가격 책정 전략

  • 기존 솔루션보다 비싸게 시작해도 무방하다.
  • 인도 시장이나 개발도상국 시장의 경우, 지역 맥락을 깊이 이해하고 나서 가격을 설정하라.
  •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일수록 더 높은 단가와 집중적인 고객군이 효과적일 수 있다.

📊 제품 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을 찾는 실험 방법

6. “사용자 행동”으로 피드백을 측정하라

  • 사용자가 앱이 다운됐을 때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며, 제품의 중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사이트가 10분간 작동을 멈췄는데 아무도 항의하지 않으면, 시장의 니즈가 약할 수 있다.

7. Airbnb 예시 – 사용자의 문제를 진짜로 파악하라

  • Airbnb는 초기에 직접 고객과 대화하며, 실제 문제를 찾아냈다.
  • 창업 초기엔 “정확히 무슨 질문을 해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폭넓고 열린 질문이 필요하다.

🚗 시장 진입 전략 (우버 사례 중심)

8. 우버의 샌프란시스코 초기 전략

  • 매우 제한된 지역, 강한 문제 인식이 있는 사용자 집단부터 시작.
  • 초기에 보상을 통해 고객 확보, 사용 경험을 강화하고 반복 사용을 유도.
  • 서비스 품질(자동차 상태, 신뢰도 등)이 초기에 매우 중요했다는 점을 강조.

🔑 핵심 정리: 창업 초기 단계 7가지 실전 팁

  1. MVP는 ‘가장 작은 유효한 해결책’ – 기능이 아니라 문제 해결에 집중.
  2. 경쟁자는 신경 쓰지 말고, 사용자 불편에 집중하라.
  3. 피드백 채널을 열고, 듣고, 개선하라.
  4. 가격은 가치 기반으로 설정하고, 무료에 집착하지 마라.
  5. 실험하고, 실패하고, 다시 시도하라 – 빠르게.
  6. 사용자의 실제 행동(재방문, 항의, 결제)에서 신호를 읽어라.
  7. 초기 시장은 ‘작고 명확한 문제’를 가진 고객부터 공략하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