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창업]프로덕트 헌트의 시작, Communicate with Users, Build Something They Want - Ryan Hoover of Product HuntY Combinator

christin-park97 2025. 3. 26. 10:45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tckGI4C7k10&list=PLQ-uHSnFig5PACZiyiDk1O24Zm9wxAEUi&index=15

🎯 Product Hunt 창업 이야기 & 비기술 창업자 조언

💡 Product Hunt의 시작

  • Ryan은 비기술 단독 창업자였으며, YC 지원 당시 이를 우려했지만, 이미 초기 사용자 성장(월 50% 성장률)을 기반으로 제품 수요를 증명했다.
  • Product Hunt의 MVP는 단순한 이메일 뉴스레터였다. 초기에는 Typeform, 이메일, Stripe 등 코드 없는 도구(no-code) 로 실험하고 시장 반응을 테스트했다.

💬 비기술 창업자에게 주는 조언

  • 꼭 코딩할 필요 없음. 대신 빠르게 MVP를 만들고 고객 반응을 확인하라.
  • 이메일, Typeform, Stripe 등을 사용해 실제 구매 의사까지 테스트해볼 수 있음.
  • 기술이 있더라도 초기에는 no-code로 빠르게 반복하는 게 좋음.

🚀 Ship & 커뮤니티 중심 전략

  • 제품 출시 전 사용자와 소통하고 피드백 받기 위해 Ship이라는 도구를 개발.
  • Casey Neistat 등 유명 인사들도 초기 제품 테스트에 Ship 사용.
  • 목표: 제품 개발 전부터 수요를 모으고,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는 느낌을 줌.

💰 비즈니스 모델

  • 초창기엔 거의 수익화하지 않음. 커뮤니티 구축이 우선.
  • Ship은 Product Hunt의 첫 유료화 도구.
  • 향후 계획: 커뮤니티+마케팅+채용(AngelList와 연계) 모델을 통해 수익화 강화.

📈 첫 사용자 확보 전략

  • 개인 블로그, 트위터, 커뮤니티 활동으로 이메일 구독자 기반 확보.
  • Twitter 봇으로 제품 등록시 제조사에게 자동 알림.
  • Fast Company 등 외부 미디어 기고도 초기 성장에 도움.

🧠 YC의 영향

  • 매주 성과 공유로 책임감 부여.
  • YC는 데이터 기반 실행과 고객 중심 문화를 강조함.

🌍 분산 팀 운영

  • CTO, 디자이너 등 초기 팀원이 유럽에 있었고, 자연스럽게 분산된 구조.
  • 8~9개 시간대에서 17명 규모. 장점: 글로벌 채용, 비용 절감.
  • 단점: 커뮤니케이션 효율 조율 필요.

🛠 팀 운영 & 창업자의 역할

  • 창업자는 모든 걸 하지 않아야 함. 좋은 사람을 고용하고 자율성 부여해야 조직이 성장.
  • 고객 지원을 중요하게 여기며 Twitter로 적극 소통.

🧪 실험 & 수익화

  •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무엇이 유료 가치가 있는지 지속 탐색.
  • AngelList의 엔젤 펀드 플랫폼을 이용해 Weekend Fund 운영 중.

🎧 팟캐스트 확장 실패 사례

  • 제품 카테고리 확장 시 실수. 팟캐스트는 동적인 콘텐츠로 Product Hunt 플랫폼과 맞지 않음.

🧭 개인 신념

  • 기술이 세상을 더 좋게 만든다고 믿음. 가상현실도 긍정적으로 평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