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Y-COM: Startup Business Models and Pricing
1. 10억 달러 규모의 기업이 사용하는 9가지 비즈니스 모델
✅ 대부분의 성공적인 기업은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을 사용하며, 새로운 모델을 발명하려 하지 않음.
✅ YC Top 100 Companies의 67%는 SaaS, 거래 기반, 마켓플레이스 모델 사용.
✅ 가장 강력한 비즈니스 모델 3가지:
- SaaS (구독형 소프트웨어) – 반복 수익, 높은 유지율
- 거래 기반 (수수료 모델) – Stripe, Coinbase처럼 돈의 흐름에서 직접 수익
- 마켓플레이스 (양면 시장) – Airbnb, DoorDash처럼 네트워크 효과 활용
2.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특징
✅ 반복적인 수익 – 예측 가능한 수익이 성장 가능성을 높임.
✅ 높은 유지율 – 고객 이탈률이 낮아야 성장 지속 가능.
✅ 거래에 가까움 – 결제 및 수익 흐름에서 직접적인 수익 창출.
✅ 소프트웨어 기반 확장 가능성 – 인건비나 물리적 한계 없이 확장 가능.
✅ 강력한 방어벽 (네트워크 효과, 락인 효과, 높은 전환 비용 등)
3. 비효율적인 비즈니스 모델
❌ 광고 비즈니스 – 바이럴 효과가 없으면 어렵고, YC Top 100에서 3%만 차지.
❌ 서비스/컨설팅 – 반복 수익이 없고 확장 어려움.
❌ 제휴 마케팅 – 거래에서 너무 멀어 수익 창출이 어려움.
❌ 하드웨어 비즈니스 – 초기 자본이 많이 필요하고 마진이 낮음.
❌ 다른 플랫폼 의존 비즈니스 – 플랫폼 변경 시 위험 발생.
4. 가격 책정의 핵심 인사이트
1️⃣ 요금을 반드시 부과하라. – 무료 모델은 고객의 가치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움.
2️⃣ 비용이 아닌 가치 기반 가격 책정. – 고객이 느끼는 가치에 따라 가격 설정.
3️⃣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가격을 너무 낮게 설정. – 저렴한 가격이 오히려 신뢰도를 낮출 수도 있음.
4️⃣ 가격은 영구적이지 않다. – 성장하면서 점진적으로 가격을 인상할 수 있음.
5️⃣ 가격 책정을 단순하게 유지. – 복잡한 가격 모델은 전환율을 낮춤.
5. 성공적인 가격 전략 사례 (Segment)
✅ 처음에는 무료 → 이후 요금을 부과하여 기업 고객 대상으로 30억 달러 기업으로 성장.
✅ 초기 가격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고객이 가치를 낮게 평가할 수도 있음.
✅ 고객이 불만을 가지지만 여전히 지불하는 수준까지 가격을 높이는 것이 이상적.
📌 핵심 요약
✅ 반복 수익, 높은 유지율, 거래 기반, 네트워크 효과를 갖춘 비즈니스 모델이 성공 가능성 높음.
✅ 가격을 두려워하지 말고 부과하라. 가격은 이후에 조정할 수 있음.
✅ 가치를 기준으로 가격을 설정하라. 고객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 가격을 테스트.
✅ 높은 가격이 경쟁력을 낮추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브랜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
✅ 가격을 올리는 것이 가장 쉬운 매출 성장 전략.
🚀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하고, 올바른 가격 전략을 통해 지속 성장하라!
그렇다면, SaaS 란??
SaaS (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고 주로 구독(subscription) 방식으로 이용하는 모델을 말해.
SaaS의 주요 특징
✅ 클라우드 기반 →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 (설치 불필요)
✅ 구독형 모델 → 매월 또는 매년 요금을 내고 사용
✅ 반복 수익 → 고객이 계속 구독하면 안정적인 매출 발생
✅ 자동 업데이트 제공 → 개발자가 지속적으로 기능을 개선
💡 대표적인 SaaS 예시
- B2B SaaS (기업용 SaaS) → Slack, Zoom, Salesforce, Notion
- B2C SaaS (개인용 SaaS) → Netflix, Spotify, Grammarly
플레이스토어에서 구독 수수료를 받으면 SaaS인가?
✅ 경우에 따라 다름!
1️⃣ SaaS가 맞는 경우: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앱은 단순히 플랫폼 역할
- 예) Notion, Grammarly, Duolingo (앱을 통해 SaaS 서비스 제공)
2️⃣ SaaS가 아닌 경우:
- 단순히 앱 자체가 제품이고, 앱 내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 예) 게임 구독 (예: PUBG 프리미엄 멤버십), 뉴스 구독 (예: The New York Times 앱)
💡 핵심 차이:
- SaaS는 주로 기능(소프트웨어 자체)에 대한 구독
- 단순 콘텐츠 구독(예: 신문, 영상, 게임 패스 등)은 SaaS가 아님
SaaS를 앱 기반으로 할 수 있어?
✅ 가능함! 앱을 SaaS 서비스의 "접근 포인트"로 활용하는 방식이 많아.
💡 앱 기반 SaaS 예시
- Notion, Evernote → 클라우드 문서 관리 (웹/앱 모두 사용 가능)
- Grammarly → 문법 교정 서비스 (웹/앱/브라우저 확장 기능 제공)
- Duolingo → AI 기반 영어 학습 서비스 (구독형 모델)
🚀 결론:
👉 앱 기반으로도 SaaS 가능하지만, 단순한 콘텐츠 구독과 구별해야 함.
👉 SaaS의 핵심은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하고, 지속적인 가치(업데이트, 관리 등)를 주는 것!
SaaS는 "설치 여부"보다 "소프트웨어 서비스 방식"이 핵심
네가 말한 것처럼, 앱을 설치해야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는데, 이게 SaaS인가 아닌가를 구분하는 기준은 단순한 "설치 여부"가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 방식이야.
✅ SaaS의 핵심은?
- 소프트웨어 기능(도구)을 제공 → 사용자는 이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구독
- 클라우드 기반 운영 → 사용자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지속적으로 관리됨
- 반복적인 수익 모델 → 한 번 판매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월간/연간 구독